검색결과 리스트
글
반응형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1. 핀(pin)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테이퍼 핀은 보통 1/50 정도의 테이퍼를 가지며, 축에 보스를 고정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② 평행핀은 분해ㆍ조립하는 부품의 맞춤면의 관계 위치를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된다.
③ 분할핀은 한쪽 끝이 2가닥으로 갈라진 핀으로 축에 끼워진 부품이 빠지는 것을 막는데 사용할 수 있다.
❹ 스프링 핀은 2개의 봉을 연결하기 위해 구멍에 수직으로 핀을 끼워 2개의 봉이 상대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이다.
2. 테이퍼 핀의 테이퍼 값과 호칭지름을 나타내는 부분은?
① 1/100, 큰 부분의 지름
② 1/100, 작은 부분의 지름
③ 1/50, 큰 부분의 지름
❹ 1/50, 작은 부분의 지름
3. 분할핀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❶ 데이터 핀의 일종이다.
②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③ 핀 한쪽 끝이 두 갈래로 되어 있다.
④ 축에 끼워진 부품의 빠짐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4. 나사 및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핀은?
① 테이퍼 핀
② 평행 핀
③ 스프링 핀
❹ 분할 핀
5. 주어진 테이퍼 핀의 호칭지름으로 맞는 부위는?

① ①
❷ ②
③ ③
④ ④
6. 스플릿 테이퍼 핀의 테이퍼 값은?
① 1/20
② 1/25
❸ 1/50
④ 1/100
7. 테이퍼 핀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부분은?
❶ 가는 부분의 지름
② 굵은 부분의 지름
③ 가는 쪽에서 전체길이의 1/3이 되는 부분의 지름
④ 굵은 쪽에서 전체길이의 1/3이 되는 부분의 지름
8. 테이퍼 핀의 호칭 지름은 표시하는 부분은?
① 핀의 큰 쪽 지름
❷ 핀의 작은 쪽 지름
③ 핀의 중간 부분 지름
④ 핀의 작은 쪽 지름에서 전체의 1/3 되는 부분
7. 테이터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보통 1/50의 테이퍼를 가지며 호칭지름은 작은 쪽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② 보통 1/200의 테이퍼를 가지며 호칭지름은 작은 쪽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③ 보통 1/50의 테이퍼를 가지며 호칭지름은 큰 쪽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④ 보통 1/100의 테이퍼를 가지며 호칭지름은 가운데 부분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8. 일반적으로 테이퍼 핀의 테이퍼 값은?
① 1/20
② 1/30
③ 1/40
❹ 1/50
9. 핀 이음에서 한쪽 포크(fork)에 아이(eye)부분을 연결하여 구멍에 수직으로 평행 핀을 끼워 두 부분이 상대적으로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은?
① 코터
❷ 너클 핀
③ 분할 핀
④ 스플라인
10. 작은 쪽의 지름을 호칭지름으로 나타내는 핀은?
① 평행핀 A형
② 평행핀 B형
③ 분할 핀
❹ 테이퍼 핀
11. 다음 중 분할 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핀 한쪽 끝이 두 갈래로 되어 있다.
② 너트의 풀림 방지에 사용된다.
③ 축에 끼워진 부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❹ 테이퍼 핀의 일종이다.
12. 핀의 용도 중 틀린 것은?
① 2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는데 사용
② 나사 및 너트의 이완 방지
③ 분해 조립할 부품의 위치 결정
❹ 분해가 필요 없는 곳의 영구 결합
13. 테이퍼 핀의 테이퍼와 호칭 표시는?
① 1/100 - 큰 쪽의 지름
❷ 1/50 - 작은 쪽의 지름
③ 1/50 - 큰 쪽의 지름
④ 1/100 - 작은 쪽의 지름
14. 테이퍼 핀(taper pin)의 호칭 직경으로 바른 것은?
① 핀의 굵은 쪽 직경
❷ 핀의 가는 쪽 직경
③ 핀의 중간 직경
④ 핀 길이 1/2지점의 직경
15. 다음 중 핀(Pin)의 용도가 아닌 것은?
① 핸들과 축의 고정
② 너트의 풀림 방지
❸ 볼트의 마모 방지
④ 분해 조립할 때 조립할 부품의 위치결정
반응형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필기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베어링 메탈의 구비조건과 종류 [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9 |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절삭저항 3분력[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9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NC공작기계의 제어방식[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9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응력집중현상[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8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핀의 호칭방법[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선반 가공의 종류[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선반의 종류[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축 설계시 고려사항[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보링 머신의 종류[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CNC서보기구의 회로방식[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3.0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