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분탐상검사의 자화방법

[금속재료기능장] 2012. 6. 12. 11:51

반응형

각종 자화방법의 특징 

 자화방법

호 

자화방법설명 

자 계 

장점 

단점 

검출할 수 있는 결함의 방향 

비고 

축통전법

EA 

ο시험체의 축 방향으로 직접 전류를 흘린다. 

원형자계

ο비교적 형상이 복잡한 시험체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ο반자계가 적다.

ο전류에 직각방향인 시험체의 굵기가 굵은수록 큰 자화전류를 필요로한다.ο스파크 우려가 있다.

ο전류와 평행한 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직각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축류의 외경에 적용한다.

 직각통전법

ER 

 ο시험체의 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직접 전류를 흘린다.

원형자계

ο축통전법(EA)과 동일

ο축통전법(EA)과 동일

ο축에 직각 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축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축류의 끝면 및 끝부분 주변 면에 적용한다.

프로드법

ο시험체의 국부에 2개의 전극을 접촉시키고 전류를 흘린다. 

원형자계

ο비교적 형상이 복잡한 시험체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큰 시험체의 검사에 알맞다.ο반자계가 적다. 

ο전류가 높기 때문에 시험체에 전극(prod)자국이 남기 쉽다. 

ο전극을 연결한 선과 평행인 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직각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형상이 복잡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류관통법

ο시험체의 구멍등을 통과시킨 도체에 전류를 흘린다. 

원형자계 

ο관 등, 속이 빈모양의 내경과 측면 및 외경을 능률 좋게 검사할 수 있다.ο반자계가 적어 스파크의 염려도 없다. 

ο외경이 클수록 큰 전류가 필요하다.

ο축통전법(EA)과 동일 

관 및 관이음매에 적용한다. 

 코일법

ο시험체를 코일속에 넣고 고일에 전류를 흘린다. 

선형자계 

ο특별히 대전류를 흐르게 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충분히 큰 자계를 걸어 줄 수 있다.ο스파크 염려가 없다. 

ο반자계가 작용하므로 끝부분은 자극의 형성때문에 탐상할 수 없다. 

ο코일 감은 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코일과 직각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축류 등의 표면 결함검출에 효과적이다. 

 극간법

ο시험체 또는 검사할 부위를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의 자극 사이에 놓는다. 

 선형자계

 ο휴대형은 무게가 가벼워 취급하기 쉽다.ο표면 결함을 검출하기 좋다.ο스파크 염려가 없다.

ο전자속이 장치의 철심단면적에 의해 정해지므로,직류는 철심보다 단면적이 큰 것은 사용할 수 없다.ο자극 주변은 누설자속이 많아 탐상할 수 없다.

ο자극을 연결한 선과 직각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평행인 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표면 결함 검출에 효과적이다.

 자속관통법

ο시험체의 구멍등을 통과시킨 자성체에 교류자속을 줌으로써 시험체에 유도전류를 흘린다. 

원형자계 

ο전류 관통법(B)과 동일 

ο외경이 클수록 높은 교류자계가 필요하다. 

ο원주방향의 결함에 대해 가장 감도가 높다.ο지름 방향의 결함은 검출할 수 없다. 

전류 관통법(B)과 동일 

 

반응형
posted by 후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