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기계설계산업기사 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안전 관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1. 선반작업에서 안전사항을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01.4)

   가. 고정 센터작업시 센터에는 주유하지 말 것

   나. 내경나사 작업시 칩은 손가락으로 제거하지 말 것

   다. 치수측정시는 정지를 할 것

   라. 작업전에 기계점검을 할 것

Tip. 고정센터를 사용시 공작물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기름을 주입한다.

2. 드릴작업시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02.2)

   가. 작업복과 작업모를 착용한다.

   나.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브러시로 제거한다.

   다. 드릴작업시에는 보호안경을 쓴다.

   라. 작은 공작물은 직접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한다.

3. 밀링작업의 안전관리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02.4)

   가. 정면커터 작업시에는 칩이 튀므로 칩 커버를 설치한다.

   나. 가공 중에 가공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므로 얼굴을 가까이 대고 분다.

   다. 절삭가공 중에는 브러쉬로 칩을 제거하지 않는다.

   라. 절삭공구나 공작물을 설치할 때에는 전원을 끄고 작업한다.

4. 공작기계에서 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04.1)

   가. 스스로 멈추게 한다.

   나. 역회전시켜 멈추게 한다.

   다. 손으로 잡아 정지시킨다.

   라. 수공구를 사용하여 정지시킨다.

5. 다음 스패너나 렌치를 사용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04.2)

   가. 넘어지지 않도록 몸을 가눌 것

   나. 해머 대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다. 손이나 공구에 기름이 묻었을 때 사용치 말 것

   라. 스패너 또는 렌치와 너트 사이의 틈에는 다른 물건을 끼워 사용할 것

6. 선반가공에서 지켜야 할 안전 및 유의 사항이다. 잘못된 것은?(05.5)

   가. 척 핸들은 사용 후 척에서 빼놓아야 한다.

   나. 공작물을 척에 느슨하게 고정한다.

   다. 기계조작은 주축이 정지된 상태에서 실시한다.

   라.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해서는 안된다.

7. 작업 중 정전이 되었을 때 취해야 할 사항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06.1)

   가. 절삭 공구를 가공물에서 떼어낸다.

   나. 기계의 스위치를 끈다.

   다. 그대로 전기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

   라. 필요에 따라 메인 스위치도 끈다.

8. 밀링 안전작업 중 틀린 설명은?(06.2)

   가. 보안경을 착용한다.

   나. 장갑착용을 금한다.

   다. 변속은 정지 상태에서 한다.

   라. 기계운전 중 다듬질 면의 거칠기를 검사한다.

9. 선반 작업에서 지켜야 할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06.4)

   가. 칩을 맨 손으로 제거하지 않는다.

   나. 회전 중 백 기어를 걸지 않도록 한다.

   다. 척 렌치는 사용후 반드시 빼둔다.

   라. 일감 절삭가공 중 측정기로 외경을 측정한다.

10. 밀링에서 작업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06.5)

   가. 상하 이송핸들은 사용 후 반드시 빼내어 주어야 한다.

   나. 커터가 회전할 때에는 손을 떼지 않는다.

   다.절삭 가공 중 가공물의 표면거칠기를 손으로 검사한다.  

   라. 절삭하는 도중 측정기구로 측정해도 좋다.

Tip. 측정은 기계가 완전히 멈춘후에 하여야 한다.

11. 화재를 연소 물질에 따라 분류할 때 D급 화재에 속하는 것은?(07.2)

   가. 일반 화재         나. 금속 화재        다. 전기 화재           라. 유류 화재

Tip. A:일반화재    B: 유류화재     C: 전기화재   D: 금속화재

12. 선반 가공에서 착용해서는 안 되는 안전 보호 장비는?(07.5)

   가. 장갑               나. 안전화            다. 작업복               라. 보호 안경

13. 선반작업의 안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08.1)

   가. 모발이나 옷자락이 회전하는 기계나 공작물에 말려들지 않도록 한다.

   나. 작업을 신속히 하기 위해 선반의 베드나 공구대 위에 측정기나 공구를 올려 놓는다.

   다. 가공된 치수는 기계를 정지시킨 후 측정한다.

   라. 칩의 비산에 대비하여 보안경을 착용한다.

14. 정과 해머로 재료에 홈을 따내려고 할 때, 안전작업 사항으로 틀린 것은?(08.2)

   가. 칩이 튀는 것에 대비하여 보호안경을 착용한다.

   나. 처음에는 가볍게 때리고 점차 힘을 가하도록 한다.

   다. 손의 안전을 위하여 양손 모두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라. 절단물이 튕길 경우가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15. 수평 밀링머신으로 가공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09.1)

   가. 가능한 한 공작물은 깊게 바이스에 고정시킨다.

   나. 하향 절삭시 뒤틈제거 장치를 반드시 풀어 놓는다.

   다. 커터는 나무등 연질재료로 받쳐 놓는다.

   라. 반드시 보호 안경을 착용하며 장갑은 끼지 않는다.

Tip. 하향절삭에서는 뒤틈제거 장치가 필요하므로 잠궈둔다.

16. 수공구 작업에서 해머와 정작업을 할 때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09.1)

   가. 기름이 묻은 손이나 장갑을 끼고 가공하지 말 것

   나. 따내기 작업시 보안경을 착용할 것

   다. 정을 잡은 손을 힘을 꼭 줄 것

   라. 열처리된 재료는 해머로 때리지 않도록 주의 할 것

17. 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작업자가 기계의 주요부분, 안전장치 등을 점검하여야 하는 데 운전 전 정지상태에서 점검하는 사항 중 틀린

   것은?(09.2)

   가. 급유상태

   나. 나사, 볼트 및 너트의 풀림상태

   다. 안전장치와 동력 전달장치

   라. 베어링의 온도 상승

18. 선반가공에서 지켜야 할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것은?(09.5)

   가. 척 핸들은 사용 후 척에서 빼 놓아야 한다.

   나. 공작물을 척에 느슨하게 고정한다.

   다. 기계조작은 주축이 정지 상태에서 실시한다.

   라.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해서는 안 된다.

19. 기계 설비의 설계과정에서 안전화 확보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10.1)

   가. 외관의 안전화

   나. 기능의 안전화

   다. 운전 비용의 안전화

   라. 구조부분의 안전화

20. 작업복 착용에 따른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10.2)

   가. 신체에 맞고 가벼워야 한다.

   나. 실밥이 터지거나 풀린 것은 즉시 꿰매도록 한다.

   다. 작업복 스타일은 착용자의 연령, 직종에 관계없다.

   라. 더운 계절이나 고온 작업시 작업복을 벗지 않는다.

21. 가죽재 안전화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10.5)

   가. 가능한 가벼울 것

   나. 착용감이 좋고 작업이 쉬울 것

   다. 잘 구부러지고 신축성이 있을 것

   라. 크기에 관계없고 선싱에 발가락이 닿을 것

22. 선반의 점검을 일반점검과 정기점검으로 나눌 때 다음 중 일반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10.4)

   가. 각종 레버는 정 위치에 있으며, 이송핸들의 조작이 원활한가?

   나. 선반 설치의 수평은 양호한가?

   다. 이송축 및 리드 스크류 축에는 이상이 없는가?

   라. 브레이크의 기능은 양호한가?

23. 통행시 안전 수칙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09.4)

   가. 통행시 뛰어 다닐 것

   나. 한눈을 팔지 말 것

   다. 통행로가 아닌 곳을 가지 말 것

   라. 큰 소리로 떠들지 말 것

24. KS규격에 의한 안전색 주황의 의미는?(05.1)

   가. 의무적 행동                 나. 항해, 항공의 보안시설

   다. 금지                          라. 위생 구호 보호

반응형
posted by 후니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