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키(key)의 종류 | ||
벨트 풀리나 기어, 차륜을 축과 일체로 하여 회전을 전달시키기 위해 끼우는 것 | ||
①묻힘키(성크키) |
②평키(플랫키) |
③안장키(새들키) |
|
|
|
가장 많이 사용 테이퍼 1/100 |
축은 자리만 평편, 보스에 홈 |
축은 절삭하지 않고, 보스에만 홈 |
④반달키(우드러프 키) |
⑤페더키(미끄럼 키) |
⑥접선키 |
|
|
|
테이퍼 축에 주로 사용, 축이 약해짐 |
축방향으로 보스 이동가능, 키의 구배없음 |
2개의 키를 120˚ 간격으로 조합 |
⑦원뿔키 |
⑧둥근키(핀키) |
⑨스플라인 |
|
|
|
갈라진 원뿔통에 끼워넣어 마찰력으로 고정 |
축과 보스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홈을 만듬 |
축의 둘레에 4~20개의 턱을 만듬 |
⑩세레이션 |
|
|
|
|
|
축에 작은 삼각형의 작은 이를 만듬. 자동차의 핸들 |
|
|
전달 회전력이 큰 순서 | ||
안장키<평키<반달키<성크키<접선키<스플라인<세레이션 |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1. 축에 키 홈을 가공하지 않고 사용하는 키(key)는? ① 성크 키 ② 새들 키 ③ 반들 키 ④ 스플라인 2. 둥근 축 또는 원뿔 축과 보스의 둘레에 같은 간격으로 가공된 나사산의 모양을 갖는 수많은 작은 삼각형의 스플라인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각형 스플라인 ② 반달키 ③ 묻힘키 ④ 세레이션 3. 일명 우드러프 키라고도 하며, 키와 키 홈 등이 모두 가공하기 쉽고, 키와 보스를 결합하는 과정에 서 자동적으로 키가 자리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동차, 공작기계등에 널리 사용되는 키는? ① 성크 키 ② 접선 키 ③ 반달 키 ④ 스플라인 4. 보스와 축의 둘레에 여러 개의 키(key)를 깎아 붙인 모양으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내구력이 크면, 축과 보스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은? ① 새들 키 ② 원뿔 키 ③ 반달 키 ④ 스플라인 5. 축과 보스사이에 2~3곳을 축 방향으로 쪼갠 원뿔을 때려 박아 축과 보스를 헐거움 없이 고정할 수 있는 키는? ① 안장 키 ② 접선 키 ③ 둥근 키 ④ 원뿔 키 6. 축에 키 홈을 가공하지 않고 사용하는 키(key)는? ① 성크 키 ② 새들 키 ③ 반달 키 ④ 스플라인 7. 회전력의 전달과 동시에 보스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가장 적합한 키는? ① 새들 키 ② 반달 키 ③ 미끄럼 키 ④ 접선 키 8. 다음 중 가장 큰 하중이 걸리는데 사용되는 키(key)는? ① 새들 키 ② 묻힘 키 ③ 둥근 키 ④ 평 키 9. 축에서 키 홈을 가공하지 않고 보스에만 테이퍼 키 홈을 만들어서 홈 속에 키를 끼우는 것은? ① 묻힘키(성크키) ② 새들키(안장키) ③ 반달키 ④ 둥근키 10. 묻힘 키(Sunk ke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울기가 없는 평행 성크 키도 있다. ② 머리 달린 경사 키도 성크 키의 일종이다. ③ 축과 보스의 양쪽에 모두 키 홈을 파서 토크를 전달시킨다. ④ 대개 윗면에 1/5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수가 많다. 11. 기어, 풀리, 커플링 등의 회전체를 축에 고정시켜서 회전운동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는? ① 나사 ② 리벳 ③ 핀 ④ 키 12. 축에 키 홈을 파지 않고 축과 키 사이의 마찰력만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키는? ① 새들 키 ② 성크 키 ③ 반달 키 ④ 둥근 키 13. 키의 종류 중 페더 키(feather key)라고도 하며, 회전력의 전달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보스를 이동 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것은? ① 미끄럼 키 ② 반달 키 ③ 새들 키 ④ 접선 키 14. 큰 토크를 전달시키기 위해 같은 모양의 키 홈을 등 간격으로 파서 축과 보스를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만든 기계요소는? ① 코터 ② 묻힘 키 ③ 스플라인 ④ 테이퍼 키 15. 가장 널리 쓰이는 키(key)로 축과 보스 양쪽에 키 홈을 파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① 성크 키 ② 반달 키 ③ 접선 키 ④ 원뿔 키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필기기출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한쪽 단면도[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한계 게이지와 테일러의 원리[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밀링작업의 떨림(chattering)[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선반의 종류[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선반 가공시간 계산식[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드레싱과 트루잉[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브레이크 용량과 제동력[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드릴링 머신의 종류[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슈퍼 피니싱[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이송 정지(feed hold)버튼[시험에 나오는것만 공부하자] (0) | 2021.01.19 |
RECENT COMMENT